
검색 반영 안될 때, 어디서부터 점검해야 할까?
티스토리를 운영하다 보면 글을 발행했는데도 검색 결과에 노출되지 않는 문제를 겪게 됩니다. 이럴 때 가장 먼저 점검해야 할 도구는 구글 서치콘솔(Search Console)입니다. 하지만 URL을 제출했는데도 ‘색인 생성되지 않음’, ‘탐색됨 - 현재 색인 생성되지 않음’ 등의 메시지가 보이면 당황스럽기 마련이죠.
이번 글에서는 서치콘솔에서 티스토리 글이 검색되지 않는 대표적인 원인과 그에 따른 해결법을 하나씩 정리해드립니다.
색인 생성되지 않는 이유 TOP 5
- 1. 발행 직후 색인 지연 – 구글이 자동으로 페이지를 탐색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수 있음.
- 2. 품질 낮은 콘텐츠 – 너무 짧거나 반복적인 문장, 중복 글이 많은 경우 색인에서 제외.
- 3. robots.txt 차단 – 티스토리 설정이나 스킨 상의 문제로 구글 로봇 접근이 제한될 수 있음.
- 4. 외부 링크 부족 – 해당 페이지로 연결되는 링크가 없다면 구글이 찾지 못할 가능성 높음.
- 5. 내부 오류 (스킨, 스크립트 등) – 잘못된 HTML 구조나 무거운 광고 스크립트로 인해 로딩 실패.
구체적 해결법: 이렇게만 하면 반영된다
- 서치콘솔 수동 제출: 해당 URL을 복사해 직접 제출해보세요. 이후 상태가 ‘색인 생성됨’으로 바뀌면 정상입니다.
- 글자 수 2,000자 이상 확보: 너무 짧은 글은 색인 자체가 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콘텐츠를 풍부하게 구성해야 합니다.
- 내부 링크 유도: 블로그 내 다른 글과 서로 연결되도록 링크를 삽입해 구글봇의 순환을 도와야 합니다.
- 이미지 alt 텍스트 활용: 시각적 요소만 있는 이미지는 검색에 반영되지 않으므로, 적절한 alt 태그 작성 필요.
- 티스토리 관리자 설정 점검: 환경설정 > 공개 설정 > 검색 허용 여부를 반드시 ‘예’로 설정할 것.
구글에 빠르게 노출되는 실전 팁
1일 1포스팅을 꾸준히 하면서, 트렌디한 키워드를 활용한 글을 올리면 구글봇의 방문 주기도 빨라집니다. 또한, 티스토리의 스킨 구조가 단순하고 반응형일수록 구글 색인에 유리합니다.
색인 생성 요청했는데도 계속 안 될 때?
이럴 경우에는 해당 글을 잠시 비공개로 전환한 후, 내용을 수정해서 다시 공개해보는 방법도 있습니다. 특히 이미 색인된 페이지가 삭제되었을 경우 ‘404 오류’로 인해 검색 반영이 거부될 수 있기 때문에, 이런 경우는 페이지 복원이나 새로운 URL로 글 재작성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📌 지금 실천해볼 것 3가지
- 구글 서치콘솔에서 ‘색인 생성 요청’ 수동 제출 시도
- 글자 수 2,000자 이상 + alt 태그 활용한 이미지 구성
- 스킨 구조와 robots.txt 차단 여부 점검
🔎 한 줄 요약
검색 누락 원인은 단순한 실수일 수 있습니다. 서치콘솔로 하나하나 점검해보면 해결의 실마리가 보입니다.
'실생활 꿀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근로소득 + 연금소득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|지급명세서 확인부터 신고 절차까지 (0) | 2025.05.22 |
---|---|
카카오톡 삭제했을 때 복구법|키즈폰·자녀 계정 복구 총정리 (0) | 2025.05.22 |
인스타 게시물 알림 꺼도 빨간점 생기는 이유|확실한 해결법 (0) | 2025.05.21 |
패드 구글포토 연동 해제|기기별 업로드 차단 설정법 총정리 (0) | 2025.05.21 |
네이버 폼 다인 신청자 엑셀 정리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5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