실생활 꿀팁

국민연금 받는 사람 종합소득세 신고|세금 공제 여부와 신고 시기

B-T-S 2025. 5. 13. 23:30


연금 수령자도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일까?

국민연금을 받는 사람들도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이면 종합소득세 신고 의무가 생깁니다. 특히 다른 소득(근로·사업·이자·배당 등)과 합산될 경우, 국민연금 자체도 ‘연금소득’ 항목으로 포함되며 세금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하지만 많은 분들이 “연금만 받고 있는데 세금 신고를 꼭 해야 하나요?” 혹은 “연금도 공제가 되나요?” 등의 질문을 하십니다. 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 수령자의 종소세 신고 여부, 세금 부과 기준, 공제 가능 여부 및 신고 시기를 자세히 설명드립니다.

국민연금은 과세 대상 소득인가요?

국민연금은 공적연금 중 과세대상에 해당합니다. 즉, 매달 받는 연금액은 연말 정산 또는 종합소득세 신고 시 ‘연금소득’ 항목으로 자동 포함되며, 과세 기준에 따라 세금을 내야 할 수도 있습니다.

  • 1년 연금 수령액 1,200만 원 이하: 비과세 또는 소액 공제로 인해 납부세액 없음
  • 1,200만 원 초과: 다른 소득과 합산 시 세금 발생 가능

즉, 단순히 국민연금만 수령하는 경우에는 대부분 납부세액이 ‘0원’으로 처리되며 신고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다른 소득이 함께 있다면 반드시 신고 의무가 생깁니다.

다른 소득과 합산되면 반드시 신고

다음과 같은 경우, 국민연금 수령자라도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.

  1. 근로소득 + 국민연금 수령
  2. 사업소득 또는 부업 수익 + 연금수령
  3. 이자·배당소득 + 국민연금

이처럼 연금 이외 소득이 연 300~500만 원 이상 발생하면 합산 과세 대상이 되며, 홈택스에서도 사전 안내 대상자로 포함됩니다.

국민연금도 공제 가능한가요?

국민연금 수령액 중 일부는 공제 대상이 됩니다.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습니다.

  • 연금소득공제: 1년 수령액에 따라 일정 비율 공제
  • 기본공제: 65세 이상, 경로우대자 등은 추가 공제 가능
  • 의료비·기부금 공제: 본인 지출분 공제 가능

이러한 공제는 연말정산 시 이미 반영되거나, 종합소득세 신고 시 수동 입력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. 단,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세액과는 별도이므로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
신고 시기와 방법은?

국민연금을 포함한 종합소득세 신고는 매년 5월 1일~31일 사이에 홈택스 또는 세무서에서 가능합니다.

  1. 홈택스 로그인 → 종합소득세 신고
  2. 소득유형 ‘연금소득’ 선택
  3. 사전 제공자료 확인 → 누락된 타소득 여부 점검

단순 연금소득만 있는 경우라면 자동으로 면제 처리되기도 하므로, 홈택스에 접속해 사전 안내 여부를 꼭 확인해보세요.

📌 지금 실천해볼 것 3가지

  • 국민연금 외 소득이 있는지 정리
  • 연간 연금 수령액이 1,200만 원 초과했는지 확인
  • 홈택스 사전 안내 대상 여부 확인 후 신고 여부 판단

🔎 한 줄 요약

국민연금만 받는 경우 대부분 비과세지만, 다른 소득이 있다면 연금도 포함해 종소세 신고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